> 방송프로그램

[119안전정보]24. 겨울철 소방시설 관리요령

글쓴이 : 박성용기자 | 작성일시 : 13-01-09 09:31
[진행]매주 수요일 유익한 안전정보를 전해드리는
광주시 소방안전본부의 이장신 예방홍보주임, 전화로 연결됐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안녕하세요!)

(답변) 요즘 광주지역에 많은 눈과 추운 날씨로 인해 시설물 관리에 주의가 필요한데요. 그 중에서도 화재 시 우리의 안전을 지켜주는 소방시설에 대한 유지관리가 정말 중요합니다.
 
 특히, 겨울철은 난로, 온풍기 등 난방기구의 사용이 증가하고 건조한 날씨 때문에 화재가 다른 계절에 비해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어느 때보다 소방시설에 대한 관리와 점검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겨울철 소방시설 관리 요령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에 영하의 날씨가 계속되면 수도 계량기가 동파되는 경우처럼아파트나 빌딩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옥내소화전 설비 등소방시설이 동파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만약, 크고 작은 소방시설의 동파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소방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대형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겨울철 우리 주변의 소방시설 점검요령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옥내․외 소화전과 스프링클러 설비 등은 배관이 외부에노출되어 동결이 우려되는 부분은 보온재로 완전하게 감싸고,수시로 작동점검을 실시해 언제라도 사용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합니다.

 아파트 복도 등에 설치된 옥내 소화전함은 헌 옷가지 등으로보온조치를 철저히 하여 동파 방지조치를 해야 합니다.

 또한, 소화기는 눈에 잘 뛰는 곳에 두고 안전핀, 노즐, 외관 부식상태 등을 잘 살피어 이상이 있는 것은 바로 교체 또는 수리해야 합니다.

 소화기의 압력게이지가 정상부위인 초록색부분에 있는지 확인하며거꾸로 들어 분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동파방지를 위해 소방 설비의 배관 내 물을 빼는 경우가있는데요. 이는 소방법 위반은 물론 화재가 발생했을 때 초기진화 실패로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절대로 배관 내 물을 빼는 등의 행위를 해서는 안되겠습니다.

 올 겨울은 전년보다 기온도 낮고 눈도 자주 온다고 합니다.한파나 폭설로 시설물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하시고특히, 소방시설에 대한 유지 관리에 최선을 다해주시길 당부드립니다.

 지금까지 「안전하고 행복한 창조도시 광주」를 만드는데
  앞장서는 광주소방안전본부에서 말씀드렸습니다.
Total 645
02 > 오늘의 칼람 > [119안전정보]24. 겨울철 소방시설 관리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