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프로그램

[초대석]전남도 김성수 수산유통가공과장

글쓴이 : 박성용기자 | 작성일시 : 16-06-28 08:59
○ 진행 멘트
  - ‘15년기준 세계 식품시장규모는 6조달러, 아시아는 2조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복합산업으로서의 식품산업을 국민경제발전을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우리 정부에서도 수산업과 동반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적 수산식품산업 조성을 위해 힘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 오늘은 전남도 수산유통가공과 김성수 수산유통가공과장 전화로 연결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네> 안녕하십니까?
  전라남도 수산유통가공과장 김성수입니다.
1. 먼저, 전라남도 수산가공유통과에서는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소개해 주시죠?
○ 우리과는 수산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유통인프라와 수산식품의 가공, 그리고 천일염을 세계적 명품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2. 농수산물의 생산액은 정체하고 있는 것에 비해 농수산식품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요 국내 수산가공식품산업의 여건은 어떻습니까?
○ 소비자들의 건강 식품과 안전한 식품에 대한 트랜드로 수산식품 가공산업의 여건은 상당히 밝은 편입니다.
○ 최근 국민들의 웰빙에 대한 관심증가로 식생활의 고급화, 간편화, 다양화와 함께 건강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또한, 일본 원전 사고 등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식품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3. 그렇다면 전라남도 수산가공식품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한 말씀해주시죠?
○ 전남은 전국 수산물생산량의 47%를 생산하고 있는 수산물 생산의 국내 일번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 대부분의 수산물이 원물이나 단순가공품으로 판매되고 있어 수산물 가공비율은 낮은(15%)수준이며,
○ 10인 이하의 소규모 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업체의 영세성 또한 문제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4.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남도에서 역점을 두고 하고 있는 일들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우리도는 ‘04년부터 수산가공 식품생산을 위한 가공시설 확충과 함께 기업투자 유치 사업 등을 꾸준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 산지가공시설의 경우 ‘15년까지 2,209억 원을 투자하였으며, 2020년까지 1,325억원을 추가 투입하여 가공산업 기반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또한, 수도권 등에 소재한 수산식품기업의 투자유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현재까지 25개 수산업체와 투자협약을 체결하여 이중 15개 기업이 우리도에 가공공장을 가동하거나 준비 중에 있습니다. 

5. 수산식품을 얘기할 때 수산시장과 같은 유통부분을 빠뜨릴 수 없을 것 같은데요 수산물의 경우 유통비용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대한 얘기를 좀 해 주시죠.
○ 네, 수산물 유통비용은 농산물과 비교해 보면 다소 높은 게 사실입니다.
○ 이는, 수산물 특성상 신선도 유지를 위한 저온, 냉장유통 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콜드체인 시스템의 운용상 비용이 더 많이 소요 된다고 하겠습니다.

6. 그렇다면, 수산물 유통개선과 관련하여 이번 정부에서도 정책적인 의지를 갖고 농수산물유통구조 개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현재 이와 관련하여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나 사업들이 있다면 어떤 것 들이 있을까요?
○ 먼저, 수산물 유통과 관련하여 가장 큰 변화는 ‘15.3월 ‘수산물 유통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 이 법률의 제정으로 우리 도에서는 수산물 위판장 등 수산물 유통시설을 현대화하는 한편, 수산물유통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복잡한 유통구조를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7. 최근 호남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호남권이 본격적인 고속철도 시대를 맞았는데요. 호남권이 수도권과 반나절 생활권이 됨에 따라 사회, 경제, 문화적인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중에서도 보다 많은 사람들이 전남도를 찾게 됨에 따라 수도권과의 접근성 향상을 도내 수산물 소비확대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네, 그렇습니다. 고속철도 개통으로 우리도를 찾는 많은 분들에게 맛있는 수산물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스타 쉐프가 지역특산 수산물을 활용한 레시피를 소개하는 영상을 방영하였고 ‘남도 수산물 맛 지도’등을 제작하여 서울, 광주 등 주요 KTX역에서 지속적인 홍보를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
 ○ 또한, 강진 마량항 ‘놀토 수산시장’과 같은 지역을 수산물 판매, 관광 등 먹거리, 볼거리가 있는 어촌 체험관광 공간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입니다.

8. 마지막으로, 천일염은 전국생산량의 대다수를 전남에서 생산하고 있는데요 전남의 천일염산업에 대하여 말씀해주시죠.
 ○ 지난해 국내 천일염 생산량은 33만톤이며, 이중 전남도에서 약90%인 30만 톤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우리도의 천일염은 마그네슘, 칼륨 등 미네랄 함량이 높은 천연 자연식품으로,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우수성을 인정받아 매년 수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소비자 여러분께서도 유네스코가 지정한 청정해역에서 생산되는 품질 좋은 천일염을 많이 애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멘트>
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지금까지 전남도 수산유통가공과 김성수 과장이었습니다.
Total 1,335
게시판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315 10월 28일 금요일 문화가있는금요일 HOT KJ BBS 10-28
1314 (8/17) 앵커맨트 HOT 심창훈기자 08-17
1313 (7/27)앵커맨트 HOT 심창훈기자 07-27
1312 (7/26) 앵커맨트 HOT 심창훈기자 07-26
1311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금호아시아나그룹 재건작업 어떻게 되어가나 HOT 박영래기자 07-26
1310 김길용 전남대 교수 "젤라틴 키틴 분해 미생물 농법의 성과는?" HOT 박영래기자 07-19
1309 [초대석] 김철주 무안군수 FILEHOT 정종신기자 07-14
1308 [초대석] 광주향교재단 최흥렬 이사장 HOT 박영래기자 07-05
1307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내년도 최저임금 협상 막바지..얼마나 인상될까? HOT 박영래기자 07-05
1306 혜민스님이 전하는 향기로운 이야기 HOT 박성용기자 07-01
1305 민선 6기 전반기 평가, 광주전남상생 성적은? HOT 박성용기자 06-30
1304 [초대석]전남지역 혹서기 대책-전남도 김태환 팀장 HOT 박성용기자 06-30
1303 예향과 지역 문화지수 HOT 박성용기자 06-29
1302 [초대석]브렉시트가 우리지역에 미치는 영향-전남대 김일태 경제학교수 HOT 박성용기자 06-29
1301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노동계 하투 시작..구조조정 성과연봉제 맞물려 몸… HOT 박영래기자 06-28
1300 참여자치21의 민선 6기 혹독한 평가..이유는? HOT 박성용기자 06-28
1299 [초대석]전남도 김성수 수산유통가공과장 HOT 박성용기자 06-28
1298 광주에는 中 요우커가 없는 이유  HOT 박성용기자 06-27
1297 우리는 부처님 가르침을 그대로 실천하고 있는가?-법정스님 HOT 박성용기자 06-24
1296 동남권 김해공항 확장이 신공항?..그러면 서남권 무안공항 활성화는? HOT 박성용기자 06-23
02 > 오늘의 방송내용 > [초대석]전남도 김성수 수산유통가공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