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프로그램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조선업 구조조정 본격화..전남 서남권 경제 파장은?

글쓴이 : 박영래기자 | 작성일시 : 16-05-03 08:50
-정부와 금융당국의 조선업 구조조정 계획에 이어,
‘빅3’ 조선사도 구체적인 구조조정안을 발표하면서,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 태풍이
이달부터 조선업계에 몰아칠 것으로 예고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정부의 조선업 구조조정이 실업대책 등은 마련되지 못한 채
몰아붙이기식 인력감축과 조직축소에만 집중돼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로 인해 대규모 실직사태 등
상당한 파장을 몰고올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우세합니다.
영암과 목포를 중심으로 한 전남 서남권 경제에도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라
걱정의 목소리가 높은데요.
오늘 경제포커스에서 이 문제 집중해서 들여다보겠습니다.
보도부 박영래 기자 나오셨습니다.

<질문>빅3 조선사들이 구체적인 구조조정안을 내놓고 있죠?
◆현대중공업 같은 경우는 경영난 타개를 위해
조선 관련 계열사 전체임원의 25% 감축하는 내용의 상반기 임원인사를
지난달 말 단행했습니다.
현대중공업 조선 계열사 임원이 240여명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 60여명이 옷을 벗는 셈입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도 조만간 임원 감축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데요.
임원 감축이 마무리되면 일반 직원과 생산직에 대한 희망퇴직 등
본격적인 인적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질문>인력감축과 관련해 각 조선사들마다 구체적인 수치들이 나오고 있다면서요?
◆대우조선해양은 2019년까지 2천300여명을 추가로 감축해
전체 인원을 1만명 수준으로 줄이는 구조조정 계획을 잡고 있습니다.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은 아직 구체적인 수치는 나오지 않았지만
현대중공업의 경우 일각에서는 전체의 10%가 넘는 3천명 감원설이 나오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도 수시 희망퇴직을 활성화하고, 정년퇴직에 따른 자연 감소를 통해 인력 감축에 나설 예정입니다.

<질문>우리 지역으로 이야기를 돌려볼까요?
현대중공업이 3천명을 감원키로 한다면, 계열사인 영암의 현대삼호중공업도 여기서 자유로울 수는 없는거죠?
◆그렇습니다. 지난 주 이 시간에도 언급해 드렸듯이
전남 서남권 조선산업의 주력인 현대삼호중공업의 상황 역시
빅3 조선사와 비교해 조금도 나을 게 없습니다.
현대삼호중공업의 올해 1분기 수주는 2척에 그쳤고, 그나마 4월에는 수주량이 전무합니다.
이미 수주한 잔량이 80여척이어서 올해 일감은 충분하다지만
추가 수주가 이어지지 못하면서
내년 일감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 있습니다.

<질문>현재 전남에 소재한 조선 관련 업체에 종사하는 인력이 어느 정도나 되죠?
◆전라남도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모두 2만7천여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그런데 올해 현재 대불산단 가동률이 60%정도까지 떨어질 정도로
일감이 없어 가동을 못하는 업체들이 늘면서
근로자들은 하나둘씩 공장을 떠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질문>구조조정이 대기업 중심에 맞춰져 있다지만 아무래도 중소 협력업체들의 불안감은 더욱 클 수밖에 없겠죠?
◆그렇습니다. 대기업 원청업체들이 법정관리나 구조조정에 들어갈 경우,
협력업체가 가장 먼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구조조정 당사자인 대기업에 비해
중소 협력업체들은 여론의 바깥으로 밀려나 있어
정부지원의 사각지대가 될 우려도 높습니다.
영암 대불산단 등지에 자리한 조선기자재 협력업체들,
일감 부족으로 경영상태는 계속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하루하루 다가오는 구조조정 시간표 앞에서 숨죽이고 있는 셈입니다. 

<질문>조선업체들의 상황이 이처럼 좋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가 인력과 조직축소를 위한 구조조정 칼을 빼어든 건데요.
그런데 제가 서두에 말씀드렸듯이
정부의 구조조정 정책이 인력을 줄이는 데만 매몰돼 있다는 건데요.
때문에 고용안정대책이나 실업대책 등이 전혀 마련되지 못한 상황에서
대규모 인력감축으로 이어질 경우
대량 실직사태 등 구조조정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우려가 높게 일고 있어요?
◆그렇습니다. 정부와 채권단은 고강도 구조조정을 전제로 금융과 고용대책을 지원하겠다는 원칙을 제시했을 뿐,
구체적인 해법은 마련되지 않았다는 게 업계의 불만입니다.
고용안정 대책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밀어붙이기식으로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 진행되면
대량실직사태에 따른 메가톤급 충격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예측입니다.
 
<질문>정부의 이번 조선업 구조조정 정책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른바 ‘인력을 많이 잘라야, 더 많은 지원을 해주겠다’.. 이런건데요.
정부와 채권단이 여론몰이식으로 밀어붙이고 있는데, 야당도 이에 대해서는 별다른 반응이 없는 것 같아요.
어제 더민주 김종인 대표가 영암 대불산단을 찾았는데, 이와 관련해 특별한 이야기는 없었습니까?
◆대불산단 기업체 대표 등과 어제 오후에 현장간담회를 가졌는데요.
이 자리에서 업체 대표들은 대불산단의 업종 전환을 위한 정부의 지원과
중소기업의 대출조건 완화, 특별고용 지원업종 지정 등을 건의했고,,
이에 대해 김종인 대표는 "전남도에서 추진하면서 해결하지 못한 사안에 대해서는 중앙당에서 노력하겠다"는 수준의 답변만 나왔습니다.

<질문>이처럼 상황이 답답하게 진행되다보니
더욱 애가 타는 건 조선업체들이 위치한 지자체들이어요?
◆조선업체가 위치한 지방자치단체와 조선업체들은
조속한 특별고용지원 업종으로 지정해줄 것을 잇따라 정부에 건의하고 있습니다.
특별고용업종으로 지정되면 고용유지지원금 확대, 특별연장급여 지급, 전직·재취업 및 창업 과정에서 각종 지원을 받게 되는데요.
어제 간담회 자리에서 이낙연 전남지사도 이 부분에 대해 협조를 요청했고,
앞서 지난주에는 전남 목포시의회가 성명을 내고
"지역경제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해 달라".. 이렇게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질문>조선업과 해운업을 시작으로 해서 구조조정이 확대될 예정인데요.
우리 사회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정부의 고용대책 등이 서둘러 마련되어야 할 것 같아요?
◆조선·해운업과 함께 5대 공급과잉업종, 신용등급 C·D의 이른바 좀비기업 등 정부가 제시한 3트랙의 구조조정 방안인데요.
이들 구조조정이 모두 원활하게 이뤄지려면 이를 아우르는 보편적인 실업 대책과
새로운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신산업 창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Total 1,335
게시판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255 5.18 36주기 기념식에 야권 정치권 들썩 HOT 박성용기자 05-16
1254 총체적 난국 광주시정 우려확산 HOT 박성용기자 05-13
1253 님을 위한 행진곡과 2016 호남의 현실 HOT 박성용기자 05-12
1252 만원의 공덕을 통한 부처님 법음의 확산 HOT 박성용기자 05-11
1251 오늘은 좋은날, 전남 동부권 부처님 법음은 105.7 HOT 박성용기자 05-10
1250 [초대석]숲속의 전남만들기, 성과좋다-김재광 전남도 산림팀장 HOT 박성용기자 05-10
1249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법인세 인상 논란 어떻게 볼 것인가 HOT 박영래기자 05-10
1248 FINA 왔는데..2019 세계수영대회와 전공노 논란, 어떻게? HOT 박성용기자 05-09
1247 내일 어린이날부터 4일간 황금연휴..가족과 함께라면 HOT 박성용기자 05-04
1246 구조조정과 서민고통, 그리고 야당의 역할 HOT 박성용기자 05-03
1245 [초대석]'광주청년, K씨의 삶'-광주시립민속박물관 부유진 학예연구… HOT 박성용기자 05-03
1244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조선업 구조조정 본격화..전남 서남권 경제 파장은? HOT 박영래기자 05-03
1243 가정의 달, 기념일들의 의미.. HOT 박성용기자 05-02
1242 걱정스런 광주의 현안들 HOT 박성용기자 04-29
1241 중국도 아는 광주의 가능성, 정부와 정치권은? HOT 박성용기자 04-28
1240 [특별대담]4.13총선과 광주시정-윤장현 광주시장 HOT 박성용기자 04-28
1239 4.13총선과 광주전남 현안 변화는? HOT 박성용기자 04-27
1238 [특별대담]4.13총선과 전남도정의 변화는?-이낙연 전남지사 HOT 박성용기자 04-27
1237 광주시 전공노 파문, 어떻하나? HOT 박성용기자 04-26
1236 [초대석]탄소제로 에너지자립섬 조성, 속도내다-전남도 변태욱 신재생에너… HOT 박성용기자 04-26
02 > 오늘의 방송내용 >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조선업 구조조정 본격화..전남 서남권 경제 파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