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프로그램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위기 내몰린 은행권 활로찾기 분주

글쓴이 : 박영래기자 | 작성일시 : 16-04-12 09:07
-초저금리시대에 수익성이 악화되고
모바일뱅킹으로 전환되면서
은행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국내 시중은행의 없어진 점포가 370개에 이르고,
작년에만 2천여명이 구조조정 되는 등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활로를 찾기 위한 움직임도 분주한데요.

오늘 경제포커스 시간에는
은행권이 움직임 한번 들여다보겠습니다.
보도부 박영래 기자 나오셨습니다.

<질문>3년간 370개 은행 점포가 없어졌다고요?
◆그렇습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0년 6천2백개였던 전국의 은행 점포수는
2012년 7천8백여개로 정점을 찍은 뒤, 이후 가파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7천4백여개로
3년간 줄어든 은행 점포수가 370개에 이릅니다.

<질문>인력 구조조정도 이어지고 있다면서요?
◆작년에 은행권에 불어닥친 특별퇴직 등 구조조정 여파로
은행원이 2천여명 줄었습니다.
우리 지역은행인 광주은행에서도 80여명이 회사를 떠나기도 했습니다.
주요 6개 시중 은행의 희망퇴직 규모를 보면
2013년 661명, 2014년 1576명으로, 지난해 2천여명을 훌쩍 넘어서는 등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질문>과거에는 동네의 목좋은 자리 1층에는 반드시 은행이 자리하고 있었었는데...
요즘은 2층이나 그 이상으로 올라간 은행 점포들도 많이 눈에 띄더라고요?
◆그렇습니다. 과거 목 좋은 자리 1층을 차지했던 은행 점포가
차츰 2층으로 밀려나더니
이제는 아예 방을 빼야 하는 형편이 됐습니다.
실례로 광주 서구 풍암동에 자리한 광주은행의 예를 들어보면
풍암동 1지구 중심 사거리 1층에 자리했던 지점은
그 건물 4층으로 올라갔고, 대신 1층에는 atm 기기만 설치돼 있습니다.
이와 함께 풍암2지구 중심거리에 자리하고 있던 운리지점도
최근 지점은 폐쇄되고, atm기기는 인근에 자리한 마트 매장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여기에 건물주들 역시 밤이면 불이 꺼지는 은행보다는
사람들이 24시간 북적이는 카페나 편의점 등으로 선호하는 것도
은행이 1층에서 자리를 빼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질문>은행들이 점포수와 인력을 줄이고 1층 매장을 비우는 배경,
그만큼 은행들이 힘들어졌기 때문이겠죠?
◆은행의 수익은 예대마진, 다시 말해 예금과 대출의 금리차에서 발생하는 수익이
은행의 전통적인 돈벌이였습니다. 
하지만 초저금리시대가 이어지면서 은행의 수익은 계속 줄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가격통제와 은행들의 출혈경쟁에 따른 비이자수익, 즉 수수료 수익 감소 역시 수익성 악화에 기여했습니다.
여기에 인터넷뱅킹이 증가하고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시중은행들은 앞다퉈 지점 통폐합하고 인력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는 건데요.
그렇다보니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수익성이 떨어지는 등 한계상황에 도달한 지점들에 대해서는
과감한 통폐합이 단행되고 있고,
인력감축도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올해 역시 시중은행들의 점포 축소는 진행중에 있습니다.

<질문>말씀하신 외부적인 요인들도 있지만, 고액연봉 직업군에 속하는 은행들의 내부적인 문제도 수익성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면서요?
◆그렇습니다. 작년 은행권의 평균연봉이 7천8백만원에 이를 정도로 고소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은행권의 이익은 줄어드는데 경직된 인건비 구조는
은행의 판매관리비용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65%에 이를 정도입니다.
은행들이 인건비 구조를 개선하지 않으면
올해 역시 대규모 명예퇴직 등은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질문>그렇다보니 은행 입장에서는 뭔가 활로를 찾아나서야 하는데요?
◆계좌이동제나 가격비교시스템 확대 등으로
은행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 상황인데요.
때문에 은행들마다 전통적인 점포를 줄이는 대신
찾아가는 영업 비대면 채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들이 은행에 직접 찾아와서 증빙서류 등을 제출해야 했던 각종 대출상품들도
스마트폰으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주말영업나 야간영업 등 영업시간을 달리하는 탄력점포를 늘리는 등 
은행들마다 활로찾기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Total 1,335
게시판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235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조선업 구조조정 앞두고 전남 서남권 술렁 HOT 박영래기자 04-26
1234 더민주-국민의당 양분, 지역정치권도 지각변동 HOT 박성용기자 04-25
1233 [초대석]제13회 장성 홍길동 축제-장성군 김수영 관광진흥담당 HOT 박성용기자 04-25
1232 더민주-국민의당 총선 2라운드, 지역현안으로 경쟁하라 HOT 박성용기자 04-22
1231 또하나의 의혹, 보수단체 관제집회 의혹..게이트? HOT 박성용기자 04-21
1230 여소야대, 누리예산 등 꼬인 매듭 풀리나? HOT 박성용기자 04-20
1229 다음선거 성패, 이번선거 공약이행에 달렸다 HOT 박성용기자 04-19
1228 [초대석]中 구룡자동차 광주유치-송경종 자동차산업과장 HOT 박성용기자 04-19
1227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각 당 총선공약 '최저임금 인상'..논의 시작… HOT 박영래기자 04-19
1226 20대국회 4.16 눈물 잊어서는 안되는 이유 HOT 박성용기자 04-18
1225 4.13 총선 분석, '부처 눈에는 부처가, 돼지 눈에는 돼지가' HOT 박성용기자 04-15
1224 [20대 총선] 전남지역 개표 결과 분석 HOT 박영래기자 04-14
1223 民心, 天心은 독주 정권-오만 야권에 회초리 HOT 박성용기자 04-14
1222 [4.13총선특집] 광주지역 결산 HOT 김종범기자 04-14
1221 4.13총선 D-1, 선택의 시간 HOT 박성용기자 04-12
1220 [초대석]수요맞춤형 연구개발사업이란?-전남도 고미경 산학협력담당 HOT 박성용기자 04-12
1219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위기 내몰린 은행권 활로찾기 분주 HOT 박영래기자 04-12
1218 4.13총선 D-2, 사전투표 최고 호남민심의 선택은? HOT 박성용기자 04-11
1217 총선 첫 사전투표, 선택하지 않으면 더 나쁜 정치가.. HOT 박성용기자 04-08
1216 전략공천, 민심의 역풍에 혼줄나는 정치권 HOT 박성용기자 04-07
02 > 오늘의 방송내용 > [박영래의 경제포커스] 위기 내몰린 은행권 활로찾기 분주